[NT포커스] “올해 벼농사 다 망쳤다” 반복되는 드론 방제 사고
- 사건/사고 / 우도헌 기자 / 2025-09-11 14:36:31
[뉴스타임스 = 우도헌 기자] 농업 현장에서 반복되는 드론 방제 사고가 다시 한번 농민들의 가슴을 짓누르고 있다. 지난 8월 세종 전의면과 9월 충남 태안군 일대에서 드론을 이용한 병해충 방제 작업 중 제초제가 섞여 살포되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벼가 누렇게 말라 고사하는 피해가 속출했다. 세종 전의면에서는 약 14만9천㎡(약 4만5천평), 태안군에서는 4만㎡ 규모 논에서 피해가 발생했으며, 수확을 앞둔 벼가 잎부터 고사하는 현상으로 농민들의 시름은 깊어졌다.
이번 사건의 원인은 병해충 방제를 위해 살포된 드론 약제에 제초제가 혼입된 데 있다. 농협과 농업기술센터가 위탁한 민간업체에서 드론을 동원해 벼 재배지를 방제하던 과정에서 살충제·살균제로 위장된 제초제 성분인 티아페나실이 살포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 인해 벼 잎이 타들어 가고, 일부 논은 벼 전체가 고사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살아남는다 해도 이삭이 제대로 여물지 않아 농민들은 사실상 올해 농사를 망쳤다고 판단하고 있다.
경제적 피해 규모 또한 심각하다. 세종 전의면 피해 논만 약 4만5천평에 달하며, 태안군까지 합치면 수십억 원대 농산물 손실이 예상된다. 농민들은 한 해 동안의 땀과 노력이 하루아침에 물거품이 된 상황에서 허탈감과 분노를 동시에 느끼고 있다. 한 농민은 “아침에 일어나 보면 한숨만 나온다”며 제초제 살포로 토양까지 오염될까 걱정하며 내년 농사까지 불안해했다.
이러한 사건은 드론 방제 과정에서의 관리 소홀과 약제 검증 부재가 핵심 원인으로 지적된다. 드론 17대를 동원한 대규모 방제 작업 중, 약제 혼입 여부 확인과 기계 조작, 살포 범위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반복 사고로 이어진 것이다. 전문가들은 “대규모 드론 방제에서는 약제 성분 혼입 확인과 운용자 교육이 필수”라며 “현장 점검 없이 자동화 장비만 믿는 방식은 사고를 부를 수밖에 없다”고 강조한다.
향후 대책으로는 약제 성분 관리 강화, 드론 운용자 교육 의무화, 사고 발생 시 신속 보상 시스템 마련 등이 제시되고 있다. 피해 농가와 농협·농업기술센터는 간담회를 통해 보상안을 논의하고 있으며, 토양 오염 여부와 회복제 처리 효과에 따라 후속 조치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번 사건은 첨단 농기계 활용과 전통 농업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보여준다. 드론 방제라는 첨단 기술은 농업 생산성을 높이는 도구인 동시에 관리 소홀 시 농민의 삶과 지역 경제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다시금 일깨워 준다.
농민들의 손끝에 맺힌 땀과 수확의 희망이 기술의 실수로 한순간에 사라졌다. 이미 벌어진 후에 필요한 것은 첨단 장비와 약제의 안전성 확보, 농민들의 마음을 지켜주는 확실한 보상이다.
뉴스타임스 / 우도헌 기자 trzzz@naver.com
![]() |
| ▲사진=KBS 뉴스 |
이번 사건의 원인은 병해충 방제를 위해 살포된 드론 약제에 제초제가 혼입된 데 있다. 농협과 농업기술센터가 위탁한 민간업체에서 드론을 동원해 벼 재배지를 방제하던 과정에서 살충제·살균제로 위장된 제초제 성분인 티아페나실이 살포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 인해 벼 잎이 타들어 가고, 일부 논은 벼 전체가 고사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살아남는다 해도 이삭이 제대로 여물지 않아 농민들은 사실상 올해 농사를 망쳤다고 판단하고 있다.
경제적 피해 규모 또한 심각하다. 세종 전의면 피해 논만 약 4만5천평에 달하며, 태안군까지 합치면 수십억 원대 농산물 손실이 예상된다. 농민들은 한 해 동안의 땀과 노력이 하루아침에 물거품이 된 상황에서 허탈감과 분노를 동시에 느끼고 있다. 한 농민은 “아침에 일어나 보면 한숨만 나온다”며 제초제 살포로 토양까지 오염될까 걱정하며 내년 농사까지 불안해했다.
이러한 사건은 드론 방제 과정에서의 관리 소홀과 약제 검증 부재가 핵심 원인으로 지적된다. 드론 17대를 동원한 대규모 방제 작업 중, 약제 혼입 여부 확인과 기계 조작, 살포 범위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반복 사고로 이어진 것이다. 전문가들은 “대규모 드론 방제에서는 약제 성분 혼입 확인과 운용자 교육이 필수”라며 “현장 점검 없이 자동화 장비만 믿는 방식은 사고를 부를 수밖에 없다”고 강조한다.
향후 대책으로는 약제 성분 관리 강화, 드론 운용자 교육 의무화, 사고 발생 시 신속 보상 시스템 마련 등이 제시되고 있다. 피해 농가와 농협·농업기술센터는 간담회를 통해 보상안을 논의하고 있으며, 토양 오염 여부와 회복제 처리 효과에 따라 후속 조치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번 사건은 첨단 농기계 활용과 전통 농업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보여준다. 드론 방제라는 첨단 기술은 농업 생산성을 높이는 도구인 동시에 관리 소홀 시 농민의 삶과 지역 경제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다시금 일깨워 준다.
농민들의 손끝에 맺힌 땀과 수확의 희망이 기술의 실수로 한순간에 사라졌다. 이미 벌어진 후에 필요한 것은 첨단 장비와 약제의 안전성 확보, 농민들의 마음을 지켜주는 확실한 보상이다.
뉴스타임스 / 우도헌 기자 trzzz@naver.com
[ⓒ 뉴스타임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